문제 풀이에 대한 오류 지적 및 개선 방향 제시는 항상 환영합니다.
알고리즘 문제를 엄청 잘 풀고 막 문제 보자마자 아 이거네 쉽네 ㅎㅎ 이렇게 푸는 입장이 아니라서
그 어떤 문제에 대한 비판 지적 방향제시는 언제나 감사하게 받겠습니다.
이 문제가 올라가는 저장소 : https://github.com/hwk0911/Junit-TDD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은 사람 | 정답 비율 |
---|---|---|---|---|---|
1 초 | 256 MB | 10746 | 7315 | 6666 | 69.300% |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첫째 줄에 n번째 피보나치 수를 출력한다.
10
55
Fn = Fn-1 + Fn-2 (n>=2) 를 재귀함수로 작성하는 간단한 문제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BOJ_Reculsive_10870_피보나치수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n == 0)
System.out.println(0);
else if(n == 1)
System.out.println(1);
else
System.out.println(getAnswer(0,1,n,2));
}
public static int getAnswer (int f0, int f1, int number, int index) {
if(index == number){
return f0 + f1;
}
return getAnswer(f1, f0 + f1, number, index + 1);
}
}
BOJ_BackTracking_15649_N과 M (Java) (0) | 2020.03.09 |
---|---|
BOJ_Math3_9375_패션 왕 신해빈 (Java) (0) | 2020.02.29 |
BOJ_Math1_2869_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 (Java) (2) | 2020.02.24 |
BOJ_Stack_4949_균형잡힌 세상 (Java) (0) | 2020.02.23 |
BOJ_Math1_1712_손익분기점 (Java) (0) | 2020.02.21 |